
빈센트 반 고흐 - 별이 빛나는 밤

매체 - 캔버스에 유화
사조 - 후기 인상주의
크기 - 73.9cm x 92.1cm cm
소장 - 뉴욕 현대미술관
《별이 빛나는 밤》은 네덜란드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정신병을 앓고 있을 당시의 고흐가 그린 작품이다. 1889년 상 레미의 정신병원에서 나와 기억으로 그린 그림이지만, 당시 고흐는 정신장애로 인한 고통을 떠올려 그림 속의 소용돌이로 묘사했다.
빈센트 반 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별이 빛나는 밤》은 그가 고갱과 다툰 뒤 자신의 귀를 자른 사건 이후 생레미의 요양원에 있을 때 그린 것이다. 고흐에게 밤하늘은 무한함을 표현하는 대상이었고, 이보다 먼저 제작된 아를의 《밤의 카페 테라스》나 《론 강 위로 별이 빛나는 밤》에서도 별이 반짝이는 밤의 정경을 다루었다. 고흐는《별이 빛나는 밤》의 작업을 마쳤을 때 그다지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한다. 작품이 소개될 당시 미술계의 반응도 변변찮았다. 현재 이 그림은 1941년부터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상설 작품으로 전시되고 있다.
비연속적이고 동적인 터치로 그려진 하늘은 굽이치는 두꺼운 붓놀림으로 사이프러스와 연결되고, 그 아래의 마을은 대조적으로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를 보여준다. 교회 첨탑은 그의 고향인 네덜란드를 연상시킨다. 그는 병실 밖으로 내다보이는 밤 풍경을 상상과 결합시켜 그렸는데, 이는 자연에 대한 반 고흐의 내적이고 주관적인 표현을 구현하고 있다. 수직으로 높이 뻗어 땅과 하늘을 연결하는 사이프러스는 전통적으로 무덤이나 애도와 연관된 나무지만, 반 고흐는 죽음을 불길하게 보지 않았다.
몇몇 천문학자들은 이 작품의 별들이 실제 밤하늘의 별들이라고 설명한다 라고 한다. 당시 양자리의 별들과 금성, 그리고 달이 그림처럼 위치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고흐가 정신병원의 침실의 창을 통해 본 밤하늘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그림에 나타난 11개의 별은 고흐가 성서 창세기 37장에 나오는 ‘열한 별’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한다.
※ 작품의 주제 ※
언덕에서 바라본 상레미의 시가와 별이 깔린하늘
※ 표현의도 ※
자신의 심리를 표현함 (고흐는 정신장애로 인한 고통을 그림 속의 소용돌이로 묘사)
※ 작품 특징※
① 누런색의 캔버스에 *임파스토 기법으로 칠해져 있음
* 임파스토 기법
- 유화물감을 두껍게 칠하여 질감 효과를 내는 회화기법
- 중요한 부분을 그리면서 붓자국 등으로 질감 및 표면에 다채로운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이 기법이 유용함
- 두텁게 칠한 물감의 두께 → 부분적으로 입체감 냄
- 화면 전체에 거칠고 두터운 터치 → 강한 질감효과
② 수평선이 기울어져 있고, 나무(사이프러스)가 왼쪽으로 치우쳐져있지만 달과,별들이 균형을 맞춰줌
③ 교회 첨탑 → 고흐의 고향인 네덜란드 연상
④ 수직으로 높이 뻗어 땅과 하늘을 연결한 나무(사이프러스)는 전통적으로 무덤이나 애도와 연관된 나무지만, 고흐는 죽음을 불길하게 여기지 않았음
To. 테오
지도에서 도시나 마을을 가리키는 검은 점을 보면 꿈을 꾸게 되는 것처럼,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한다. 그럴 때 묻곤 하지. 왜 프랑스 지도 위에 표시된 검은 점에게 가듯 창공에서 반짝이는 저 별에게 갈 수 없는 것일까?
타라스콩이나 루앙에 가려면 기차를 타야하는 것처럼, 별까지 가기 위해서는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죽으면 기차를 탈 수 없듯, 살아 있는 동안에는 별에 갈 수 없다. 증기선이나 합승마차, 철도 등이 지상의 운송 수단이라면 콜레라 결석, 결핵, 암 등은 천상의 운송 수단인지도 모른다.
늙어서 평화롭게 죽는다는 건 별까지 걸어간다는 것이지.
- 1888년 6월 by. 빈센트 반고흐 -
'미술X명화X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바도르 달리] '기억의 지속' 주제, 감상문, 표현기법, 조형원리, 의도, 가치, 시대적 배경, 비평문 (2) | 2021.03.15 |
---|---|
[파블로 피카소] 게르니카(Guernica) 주제, 해석, 조형요소, 비평, 그림기법, 폭격, 재료, 특징, 황소 의미 (17) | 2021.03.14 |
[앙리 마티스] 음악(The Music) 특징, 조형요소, 표현기법, 주제, 배경, 해석, 가치 (0) | 2021.03.14 |
[작자미상]밀로의 비너스(Venus de Milo) 황금비율, 크기, 복원, 미의 기준, 팔, 조각가, 비너스상 고대 (0) | 2021.03.14 |
[장프랑수아 밀레] 이삭 줍는 여인들(사람들) 조형요소, 표현방법, 기법, 의미, 비평문, 가치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