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X명화X화가

[로이 리히텐슈타인] 그림에 점이 있는 이유, 벤데이 점(Benday Dot), 망점, 벤데이 닷 기법

이슈팔이 2022. 8. 22. 16:36
반응형

로이 리히텐슈타인 그림에 점을 사용한 이유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문 진정한 팝아티스트

로이 리히텐슈타인

(Roy Fox Lichtenstein)

 

 

세계적인 미국 팝아티스트인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수많은 작품들에게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바로 점으로 그림을 그렸다는 것!

 

 

로이 리히텐슈타인 작품을 보면 점들로 구성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체 이 점은 무엇이고

로이 리히텐슈타인 작품속에는

왜이렇게 점이 많은 것일까?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벤데이 점(Benday Dot)이 특징인 로이 리히텐슈타인 작품

 

 

앞서 언급했듯이

로이 리히텐슈타인 작품의 특징은

 선명한 검은 색 테두리와 형태를 메우고 있는 점(dot)들이다. 

 


벤데이 점(Benday Dot)이라고 하는 

이 망점은 

그가 직접 드로잉하고 채색한 것이 아니라 

구멍이 뚫린 판을 사용하여 

색점들을 만들어내는 

우 기계적인 작업에 의한 것이다. 

 

 


작품에 대해 어떠한 개성의 흔적도 드러내지 않은

 팝아티스트의 중립적인 냉정함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며 

이것이 바로 추상표현주의와 구별되는 점이다. 

벤데이 점(Benday Dot)

 

 

즉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작품에 본인의 개성의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벤데이 점을 사용함으로써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와

당시 시대적 상황을 담담하고 냉철한 시각으로써

어떠한 주관도 들어가지 않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가장 미국적인 매스미디어를

미국적인 매스미디어의 방법으로

미국과 미국인의 전형을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벤데이 점, 벤데이 도트

 

‘벤데이 점’은

1879년, 일러스트 작가이자 프린팅 작가인

벤야민 데이 주니어(Benjamin Henry Day.JR)의

이름을 붙인 기법으로,

인쇄를 할 때 잉크를 아끼기 위해 사용한 이 기법을

로이 리히텐슈타인는

 기계적인 모습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회화에 그대로 표현, 사용한 것이다

 

 

 

결국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벤데이 점 (Benday Dot)

 

 

 

[로이 리히텐슈타인] 차 안에서 - 펠드먼의 미술 비평 4단계, 주제, 특징, 조형요소, 미술사적 의

 팝 아티스트계 거장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차안에서> ‘만화인 듯 회화 같은’ 새로운 구상화 시대: 팝 아트 제작 시기: 1963년–1963년 장르: 역사화 DC코믹스 1950년대 만화책 시리즈인 소녀

mini-new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