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X명화X화가

[피에트 몬드리안]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표현기법, 시대적배경, 의미, 조형원리, 주제, 가격

이슈팔이 2021. 3. 12. 19:53
반응형

[피에트 몬드리안]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몬드리안의 <빨강,파랑,노랑의 구성>은

누구나 한번쯤은 본적있는

유명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마 이 작품을 처음 접하게 되면

'이 정도 그림은 나도 그릴수있겠는걸?'

'이게 대체 왜 유명한거지...?'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 작품이다.

그럼 대체 이 단순한 작품이 왜 유명한지,

어떠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것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피트 몬드리안 /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 1930

 

작품 소개

제목: 빨강, 파랑, 노랑의 구성
작가: 피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 

20세기 대표적인 추상주의 화가
제작연도: 1930년
재료: 캔버스 위에 유채
크기: 51 × 51㎝
소재지: 미국, 뉴욕, 개인소장

 

** 검은색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구획을 나눈 단순 구성에

빨강, 노랑, 파랑색의 삼원색만을 사용한 회화 작품 **


그중에서도 기하학적(차가운) 추상으로 

선, 색채, 조형적 원리를 탐구한 추상 회화

 

 기하학적 추상회화 양식의 전형이 되는 

   " 신조형주의(Neo-Plasticism) 시대  "  의 대표작

 

* 신조형주의란? 직선과 직각, 삼원색과 무채색만을 기본 요소로 제한한 미술 운동. 모든 공간을 평면으로 생각함


법칙에는 ‘만들어진’ 것과 ‘발견된’ 것이 있지만 둘 다 법칙이고, 법칙은 언제나 옳다. 법칙은 실재 속에 숨어서 우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변하지 않는다.  -  피에트 몬드리안 ( Piet Mondrian )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탄생 배경

 

몬드리안이 이 작품을 그렸던 시기는 화가들에게 "그림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던 20세기 초반

( 이 시기에는 사진기가 발명되고 대중화되면서 그림이 사진보다 더 사실적으로 사물을 담아낼 수 없는 한계에 다다름... 그러다보니 그림은 사물의 본질에 대해 탐구를 하기 시작하였고, 겉으로 보이는 형태를 단순화 시키며 추사화가 발전하게 된 시기)

몬드리안도 역시, 사물의 본질과 추상된 사물을 그려야 했던 시기였음...

몬드리안의 <빨강, 파랑, 노랑의 구성>은 교회 옆 한 나무로 부터 시작
   → 1909년 붉은 나무, 1911년 회색 나무, 1915년 Composition No.10 Pier and Ocean 시리즈 등 200여점의 그림과 수천장의 드로잉을 통해 나무는 점점 추상화 형태의 단계를 거쳐감
  → 그러다가 마침내 1930년 기본 조형 요소만 남은 최소화된 선과 나무의 강렬한 생명력을 드러내는 단순하고도 힘이 살아 있는 작품 <빨강, 파랑, 노랑의 구성>이 탄생

* 개인적인 사담을 덧붙이자면....나무를 형상화한 추상 미술이라고는 하나,,, 솔직히 나무의 형상을 어떻게 묘사한것인지 시각적으로 파악하기는 힘듬...대체 어디를 봐서...나무인것인지....예술의 세계란.... 

 

 

 

 

 

 

빨강,파랑,노랑의 구성의 특징

 

 수직과 수평의 검은 선, 빨강·노랑·파랑의 삼원색과 흰 여백 그리고 완벽한 균형의 비대칭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

 

 

 

 

 

 

빨강,파랑,노랑의 구성의 해석

 

1) 몬드리안 자신이 진정한 리얼리티라고 생각한 '세계의 보편적 조화'를 회화적 구성으로 환원한 것으로 우주과 자연을 표현한 것

2) 보편적인 조형 요소인 수평과 수직선만으로 작품을 표현하였으며, 색채도 빨강, 노랑, 파랑의 삼원색 있음 / 명암으로는 무채색인 검정과 흰색, 회색이 남아 명도를 조절

"그림이란 비례와 균형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 라는 메시지를 작품으로 보여줌

 

**** 작품에 대해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몬드리안의 철학을 살펴보면, 몬드리안은 수평은 여성성이고 수직은 남성성이라는 이원적 요소 봄 / 즉, 모든 것을 대립되는 두 요소로 설명한 몬드리안은, 이 대립이 균형을 이루어 나가는 조화 를 회화의 기본 법칙으로 삼았다.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미술적,예설술적 의미와 가치

 

 

1)  몬드리안의 예술론이 극명히 드러난 작품 (몬드리안은 절대적이고 근본적인 규칙을 따라 자연을 단순화시키다보면 수직과 수평의 선이 남고 그것들이 만나 공간을 만든다고 여김)

2) 몬드리안은 미술에서 가장 완벽한 형태로서 사각형을 생각했으며 직각만이 변함없는 관계를 유지하고 우주의 섭리도 사각형에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함 → 이 작품은 그의 신념이 잘 나타나있으며, 이러한 가치관은 지금까지 많은 미술가들이 인간의 삶의 근원인 우주와 연관하여 원이 가장 완벽한 형태라는 기존의 인식을 변화시킴

3) 선과 면, 점과 색으로만 이루어진 굉장히 단순해보이는 작품이나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작품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냄

4) 몬드리안 작품의 비례와 균형의 공간 분할은 시간이 흘러도 그 세련미를 잃지 않아, 현시대까지 많은 상업광고에 이용

반응형